본문 바로가기
CH 0 생각의 조각

질적 연구 논문쓰기 1단계 : 질적연구 방법론 이해하기

by 스트레스프리스르륵 2022. 5. 23.
반응형

 논문 작성에 있어 질적 연구를 선택한 이유는 논문 주제로 선정한 현상이 가지는 '특수성' 때문이다.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이나 천안함 사건은 실제로 발생하지만 그 빈도가 매우 낮은 편이다. 그 자체가 소수의 특이한 케이스이다. 남북 간 전쟁 위기로 몰아가는 사태임에도 불구하고 왜 이런 사태가 발생하는지 통계적으로 접근하기 어렵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 국/내외, 정치경제적 파장은 매우 크다. 이렇듯 분명히 존재하는 현상인데 발생 원인과 경과를 규명하기 어려운 주제로 되어 버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관리'할 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본질적 개념을 추상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었다. 이런 주제로 논문을 작성하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방법이 바로 질적 연구였다. 

 

 개인적으로 질적연구라는 방법으로 논문을 쓰려고 마음만 먹고 1년이 넘게 지났다. 논문을 쓰는 데 있어 질적 연구라는 방법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 다시 한번 는, 특수한 사례 몇 가지가 나타내는 현상을 그대로 적시하고 연구하여 본질적 개념을 찾아내는데 의의를 가졌기 때문이다. 

 

1. 질적연구는 주관적이라는 한계를 받아들여야 한다. 

질적연구의 특징은 데이터가 적고, 수치화하기 어려우며, 통계적으로 접근하기 어렵다. 따라서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크게 세 가지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그러나 그 마저도 소수일 가능성이 높음에 따라 설득력을 얻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음을 경계해야 한다. 양적 연구는 실험, 리서치 등을 통해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수학적으로 해석, 분석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질적 연구는 몇 가지 사례, 기존 연구, 특수한 경험을 한 사람 또는 전문가의 의견을 이론화해야 한다. 그렇다 보니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질적 연구의 연구 수단은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가. 문헌고찰 (선행연구)

 나. 인터뷰 

 다. 사례 조사

 특히, 질적연구는 연구 자체도 주관적이지만 이를 보는 논문 심사자도 작성자의 의견에 대해 동의할지 동의하지 않을지 그 자신만의 주관적 판단에 따를 수밖에 없다. 

 

2. 질적연구는 제목과 본론의 구성 방안에 대해 먼저 이해한다.

 질적 연구의 특징이 주관적이라는 점에 대해서 철저히 이해해야 한다. 그렇다 보니 논문의 구성에서 논리를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해 주는 게 중요해진다.

 

 가. 'A 이론으로 본 B에 대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접근한다.

     이를 바꿔서 보면 B에 대해서 연구하는 데 있어 A 이론을 중심으로 보는 것이다. 

 나. 본론의 흐름은 

     1) 개념 제시

         가) B에 대한 개념적 정의 등 개념화

         나) A이론 소개

     2) B에 대한 일반화 

     3) A 이론으로 보았을 때 B에 대한 평가

 다. 중요한 건 권위 있는 A이론을 찾는 데 있다.

 

3. 질적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부터 적용해보는 것이 편하다.

 가. 현상에서 본질적 개념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이다.

  그렇다면 이 현상은 어떻게 알게 되었는가? 에 집중해보자. 현상을 알게 되는 이유가 무엇이었는가? 

  이 현상과 관련된 특수한 사례, 특수한 사례를 경험한 사람을 찾아야 한다.

  예) '탈북' 현상 --> 탈북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경험한 탈북자

 

나. 특수한 사례, 특수한 경험을 한 대상자를 찾아 현상의 특징을 끌어낸다.

  특수한 사례, 대상자에서 특정 현상에 관한 모델을 끌어내기 위해서 케이스의 숫자를 확보하는 게 중요

  연구자가 특수한 케이스, 면접을 통해 현상의 본질적 개념을 찾아내는 게(끌어내는 게) 중요.

   

 

4. 논문 쓰기에 적용하기 

 가. 특수한 사례와 남북 간 전쟁위기 (현상)

   1) 천안함 사건

   2) 연평도 포격 도발

   3) 판문점 도끼만행

 

나. 본질적 개념

   1) 남북관계를 위기 국면(현상)으로 끌고 간 사례의 본질적 개념

      제시 : 전략적 수준에서의 정책 설정 간 형성된 부작용이 주는 모호성이 전술적 수준에서 당위성으로 잘못 발현되었다.

   2) 본질적 개념으로 접근하기 위한 단계

      가) 형성된 모호성의 예 : 원점 타격론 vs 동종동량 대응, 정전협정 폐지 vs 정전협정 준수, 영토 설정 

   - 북한 영역으로 인식하도록 하자 전술적 수준에서 행위자들은 대한민국의 행위를 침범으로 인식

      행위자들은 지극히 당연하고 정당한 행위를 함.

 

 다. 특수한 사례, 특수한 사례 면접에 대한 내용

   - 언론사에서 추적한 사료 제시 : 도끼만행 사건은 북한군 소대장의 잘못된 영역 인식 때문

   - 천안함 사건 : 해양 영역에 대한 오인식의 결과

   - 연평도 포격 도발 : 상호 레드라인에 대한 응징 오해

 

 

반응형

댓글